대구의 5대 신산업

대구의 5대 신산업

대구시는 50년 뒤에도 안정적인 경제기반을 제공해 줄 미래산업으로
UAM, 센서 반도체, 서비스로봇, ABB기술, 디지털치료제(헬스케어) 등 5대 분야를 지목하고,
신산업 선점을 위해 차별화된 관련 산업 기반 조성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5대 신산업 육성 정책은 미래산업 중심으로 지역경제를 전환하게 하는데,
이를 위해 대구 컨벤션뷰로도 각각의 산업들과 연계한 컨벤션 유치에 집중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UAM 센서 반도체 서비스로봇 ABB기술 헬스케어

UAM (도심항공모빌리티)
UAM, 자율주행차 등 모빌리티 산업은 기존 자동차 부품도시 대구의 미래차 산업 전환과 그 연결점을 공유 합니다.
대구시는 대구국가산업단지에 ‘모빌리티 모터 클러스터’(사업비 3천억원·33만여㎡) 구축을 준비 중이며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이 들어설 군위군 일대에 UAM 버티포트(수직 이착륙장)를 설치해
공항 주변을 지상과 하늘을 아우르는 ‘미래 모빌리티 허브’ 조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UAM (Urban Air Mobility)
비메모리 반도체
대구시는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공약 포인트로 반도체 센서 분야를 선택하고,
센서 반도체용 ‘D-팹 (Fab·반도체 기반 생산공정)’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센서 관련 제조 및 수요기업, 스타트업 그리고 반도체 설계기업(팹리스)을 확보 후
DGIST 인근 부지에 센서 반도체 집적단지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비메모리 반도체
서비스 로봇
기계금속 산업 자원이 풍부한 대구시는 글로벌 서비스 로봇 허브도시로의 성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대구는 2010년 6월 로봇전문국책연구기관인 ‘한국로봇산업 진흥원’을 유치했고 2017년 6월에는 로봇산업클러스터 조성도 완료했습니다. 2018년에는 글로벌 로봇 클러 스터(GRC)를 구축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세계 굴지의 5대 로봇기업도 정착해 있는 등 관련 산업기반이 잘 갖추어져 대한민국 미래 서비스로봇 산업 중심지로의 도약의 발판이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GRC
ABB (인공지능·블록체인·빅데이터)
수성구 대흥동에 2019년 조성된 100만㎡ 규모의 대구 수성알파시티에는
소프트웨어(SW) 분야 11개 지원 기관과 114개 ABB 관련 기업, 3000여 명의 인재 등이 모여있어 비수도권 최고의 소프트웨어 집적단지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대구시는 ABB기술을 IT산업에 접목해 2030년까지 수성알파시티를
정보통신기술(ICT)산업 집적지로 조성하여 비수도권 최대 디지털 혁신거점 으로의 성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ABB
헬스케어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대구는 기존 제조업 중심의 의료산업 구조를
디지털 헬스케어와 연계하는 쪽으로 재편하고 있습니다.
뇌연구원, 첨단임상지원센터, 한국 산업기술시험원 빅데이터센터, 3D프린트 의료기기 제조소 등의 산업 기반이 잘 조성되어 있습니다.
인공지능, 디지털치료기기, 전자약에 중점을 두고 산업을 육성하고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중심으로 잘 구비된 대형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할 계획입니다. 또한 기존 인프라와 연계해 디지털 치료제 및 AI신약 개발에 특화된 의료전문 스타트업 육성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GRC

기타 3대 산업

섬유

섬유
대구의 섬유산업은 우리나라 전체의 무역수지 56%를 차지하고 있는 지역의 대표 산업입니다. 과거 의류의 기본 기능에 맞춰 생산, 제조하는 한계를 뛰어넘어 기술과 문화, 정보를 접목시켜 첨단 지식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신섬유소재 수요인 조선, 자동차, 전자 분야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 로봇, 풍력 등의 부품 소재로 섬유 활용이 증가 됨에 따라 무한한 발전이 기대됩니다
  • 대구국제섬유박람회

    대구국제섬유박람회

  • 대구텍스타일콤플렉스

    대구텍스타일콤플렉스

  • 한국패션산업연구원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소재

소재
지역 전체의 제조업체 수에서 부품 · 소재산업이 65%를 차지하고 있으며 소재산업에 관련된 우수한 인력양성 기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소재산업을 기술집약 미래형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구조고도화 및 지속성장 기반 구축을 통해 세계적인 부품 및 소재 공급 허브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대구국제섬유박람회

    국제부품소재산업전

  • 대구기계부품연구소

    대구기계부품연구소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문화

문화
대구시는 근대문화골목, 김광석 길 등 풍부한 도시관광 자원과 DIMF(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DIOF(대구국제 오페라축제), 대구치맥페스티벌 등의 글로벌 축제, 국제 규모의 공연 행사유치를 통해 공연문화도시로써 도시의 브랜드를 확산시켰습니다. 또한 대구는 전통시장 명소화 사업인 서문시장 야시장을 통해 체류형 관광지로 재인식 되었으며, 관광자원 확대 및 활성화를 통해 글로벌 문화 도시로의 진입에 한걸음 다가가고 있습니다
  • 컬러풀대구페스티벌

    컬러풀대구페스티벌

  • 국제뮤지컬페스티벌

    국제뮤지컬페스티벌

  •  근대문화 골목투어

    근대문화 골목투어

주요 기업

대구
대구삼성창조캠퍼스

대구삼성창조캠퍼스

대구텍

대구텍

DAC

DAC

평화 발레오

평화 발레오

에스엘

에스엘

롯데 케미칼

롯데 케미칼

현대로보틱스

현대로보틱스

경북
LG

LG

TORAY

TORAY

포스코

포스코

세아제강

세아제강

SK 화학

SK 화학

NEXTEEL

NEXTEEL

경남(창원, 울산)
LG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

최상단으로 이동